진료시간안내

  • 월수금 08:30 ~ 18:00
  • 화 목 08:30 ~ 16:00
  • 토요일 08:30 ~ 12:00
  • 점 심 13:00 ~ 14:00

* 토요일은 점심시간없이 12시까지 진료합니다.

031-258-0075


건강칼럼

홈으로_ 커뮤니티_ 건강칼럼

제목

당뇨발·투석 환자, 전기장판 '발 사용' 위험한 이유는?

image

당뇨 환자들 중에는 유독 발이 시린 증상으로 힘들어하는 이들이 있다. 일부 환자들은 더운 계절에도 냉감을 호소하며 전기장판을 사용하는데, 특히 투석 환자들에게서 이런 증상이 두드러진다. 혈액순환부전이 동반된 당뇨발 환자의 경우 발목 아래 혈류량이 감소해 발의 시림이 더욱 심해진다.

전기장판이 불러오는 '조용한 화상'
그러나 냉감을 완화하려고 전기장판을 발에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당뇨발 환자는 신경 손상으로 감각이 둔해져 장시간 열에 노출돼도 뜨겁거나 아픈 통증을 잘 느끼지 못한다. 발을 전기장판 위에 두고 이불까지 덮으면 내부 온도가 40도 이상으로 올라가며, 피부 발적·부종·물집이 생기고 심할 경우 조직 손상으로 이어진다. 장시간 방치되면 피부 괴사, 신경조직 손상, 감염으로 악화돼 치료가 어려운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저온화상, 발견이 늦어 더 위험
저온화상의 가장 큰 문제는 진행 중에도 통증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뜨겁다'는 신호를 받지 못해 조기 발견이 어렵고, 환자들은 화상이 생긴 사실조차 모른 채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문진을 해보면 전기장판이나 온열기 사용 이력이 확인되며, 저온화상으로 인한 조직 손상과 괴사가 확인되곤 한다.

저온화상 초기에는 가벼운 가려움, 물집, 피부 발적이 나타날 수 있다. 더 진행되면 피부가 붉어지고 통증이 발생하거나 조직 손상이 관찰된다. 심부조직까지 손상되면 괴사, 궤양, 감염으로 이어져 위험한 상처로 발전할 수 있다. 초기 증상이 가볍다고 방치하지 말고, 의심되면 곧바로 당뇨발 전문센터를 찾아야 한다.

예방이 최선의 치료
가장 중요한 것은 저온화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예방하는 것이다. 당뇨환자, 투석환자들은 전기장판을 절대 발 쪽으로는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불가피하게 사용할 경우에는 몸통 쪽으로 제한하고, 발을 덮은 채 장시간 수면하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발이 시리거나 저리다고 해서 온열기구를 이용해서 발을 덮고 잠을 자는 것은 저온화상의 위험이 매우 높은 행동임을 명심해야 한다.

보온을 위해 부드러우면서 가벼운 이불을 2-3겹 사용하는 것 정도는 가능하다. 하지만 온열기구를 발 쪽으로 사용하는 것에는 매우 주의가 필요하며 항상 저온화상 등의 위험이 있다는 것을 늘 기억해야 한다.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